코드 트리는 진단 평가를 기반으로 단계별 학습 가이드를 따라 알고리즘 실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 이 단계별 가이드 덕분에 처음 알고리즘을 접하거나 평소 해설을 읽어도 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뿐만 아니라, 제목에서 언급했던 대로 네이버, 카카오, SK 등의 대기업 코테 문항이 유형별로 준비되어 있어 차근차근 따라가면서 유형을 익힐 수 있습니다.
코드 트리를 두 달간 사용해 본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.
좋았던 점
확실히 실력이 쌓여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.
이번 한 달간은 구현 능력을 기르기 위해 구현 파트에 집중해서 풀었습니다. 코드 트리 이전에는 백준에서 구현 실버~ 정도를 풀 때도 헤매고 있었다면, 이제 골드 이상을 풀 때 어느 정도 방향에 대한 감이 잡힙니다. 물론 완벽하게 풀어내기에는 갈 길이 멀지만, 그래도 문제를 보고 멍 때리지 않고 “이렇게 해 봐야지”라는 방향성을 잡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다른 플랫폼을 통해 풀 때보다 시간이 단축된다.
알고리즘 풀이는 단순히 문제를 풀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. 내가 풀었든 풀지 못했든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따라서 생각보다 한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때가 많을 것입니다. 애초에 익숙하지 않은 알고리즘이나 복잡한 문제의 경우, 다른 사람이 블로그에 작성해 둔 풀이를 보고도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는데, 코드 트리에서는 이미지나 비디오 등 시각 자료를 활용한 상세한 풀이와 빠른 질의응답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어 이런 총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, 효율적인 문제 풀이가 가능합니다.
기업별 커리큘럼이 있다.
네이버, 카카오, 삼성 문제 같은 경우 자주 나오는 유형을 좁혀볼 수 있습니다. 코드 트리에서는 이러한 유형을 보다 세분화하여 다양한 유형을 접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. 예를 들어, 복잡한 구현 문제의 경우, 아래와 같이 세분화합니다.
- 격자 안에서 완전 탐색
- 격자 안에서 밀고 당기기
- 격자 안에서 터지고 떨어지는 경우
- 격자 안에서 단일 객체를 이동
- 격자 안에서 여러 객체를 이동
이러한 단계를 거쳐가며 배열을 밀거나 회전시키고, 배열 내에서 탐색하는 과정을 배웁니다. 그리고 이런 기본기는 정렬, 백트래킹, 그래프 탐색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개념으로 익혀두면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.
유의할 점
해설 정답이 항상 가장 간단하거나 최선인 방법은 아니다.
간단히 예를 들어보자면, 일차원 배열을 시계방향으로 미는 코드는 아래처럼 짤 수 있습니다.
function rotateClockwise(a) {
const arr = [...a]
// 마지막 요소 기억
const last = arr[N-1]
// 0~N-2 요소를 오른쪽으로 밀기
for (let i=N-1;i>0;i--) {
arr[i] = arr[i-1]
}
// 마지막 요소
arr[0] = last
return a
}
JavaScript의 스프레드 문법을 사용하면 아래처럼 조금 더 읽기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.
function rotateClockwise(a) {
return [a[N-1], ...a.slice(0, N-1)]
}
따라서, 문제를 풀어 가는 원리가 같더라도 각 언어의 문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결론
다른 플랫폼들과 비교해 학습자가 나아갈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, 질의응답이나 문제 해설과 같은 측면에서 지원도 확실합니다. 비용이 발생하지만 기업 코테를 준비하기 전이나 알고리즘이 막막하게 느껴질 때 망설임 없이 추천하고 싶은 플랫폼입니다. 실제로 사용하면서 너무 마음에 들어서 주변에 계속 추천하기도 했습니다. 코드 트리 계속 좋은 컨텐츠 많이 만들어주세요!
이상 코드 트리 두 달 사용 후기였습니다. 좋은 기회를 주신 글또와 코드 트리 감사드립니다.
'Others > Revie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demy] Git & GitHub 실무 활용 완벽 가이드 후기 (3) | 2024.05.12 |
---|---|
[Udemy] TDD로 배우는 웹 프론트엔드를 듣고 (1) | 2024.04.03 |
피할 수 없다면 코드트리와 즐기자, 알고리즘! (2) | 2024.02.26 |